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

별 헤는 밤_윤동주

  별 헤는 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 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아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잼', '라이너 마리아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스라이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거외다.

 

  <별 헤는 밤>은 멀리 북간도에 계시는 어머니에게 조용히 고백하는 형식을 띤 작품입니다.

 중간에 산문 형태가 끼어 들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자유시의 일반적인 운율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시에서는 시인과 시적 화자가 별개의 존재로 다루어지지만, 이 시에서는 자기 성찰을 보이는 시적 화자가 시인의 직접적인 투영이라는 점이 주목을 끕니다.

 윤동주의 고향이 '북간도'이고, 이 시에서 '북간도'에 대한 회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시적 화자와 시인이 분리되지 않습니다.

 그만큼 시적 진실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아름다운 이상에서의 동경을 주제로 한 이작품으 난해하지 않은 표현 기법으로 친근감과 설득력을 더해 주고 있습니다. 

 가을 하늘과 별과 시인의 고향, 북간도의 이국적인 정조가 망국의 설움과 어울려 민족의 비애가 애잔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별'은 이 작품의 중심 소재로서 윤동주가 즐겨 사용하는 이미지입니다.

 윤동주는 이상과 순수, 구원의 상징인 별을 헤면서 여러 상념에 젖고 시를 떠올리며 어머니를 그리워합니다. 

 그가 별을 다 헬 수 없는 것은 그가 꿈꾸는 것이 많기도 한 탓이겠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밤이 빨리 지나가기 때문이며, 번민과 고뇌로 상징되는 젊은 날이 아직 많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이 시는 가을로부터 겨울을 지나 봄에 이르는 계절의 변화, 과거에서 현재로 이동하면서 느끼는 시인의 자아에 대한 인식이 화상, 반성, 결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반부에서는 현상을 직설적으로 표현하였으나, 후반부에서는 고뇌와 소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별'은 회상의 매체로서, 등경하는 세계를 상징합니다.


 윤동주는 일제 강점기 지식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정신적 고통을 섬세한 서정과 투명한 시심으로 노래한 시인입니다.

 그의 시의 특성은 고요한 내면 세계에 대한 응시를 순결한 정신성과 준열한 삶의 결의로 발전시킨 데 있습니다.

 초기 동시는 일상생활에 대한 애정어린 관찰과 화해의 세계를 구축하며, 산문을 통해 청년기의 내적 고뇌를 표현하지만, 그의 생애를 마감할 무렵인 일본 유학 시절의 시는 윤동주의 저항 시인으로서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 줍니다. 

 그의 시는 근본적으로 그의 생애의 흐름과 일치하며 발전합니다.

 즉 개인적 자아 성찰에서 역사와 민족의 현실에 대한 성찰로 인식을 확대하는 것입니다.

 민족의 해방을 기다리며 죽을 때까지 부끄러움을 잃지 않은 시인으로서 그의 시는 일제 강점기의 종말에 대한 희생적 예언으로서 자리잡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그의 시세계의 정신적 기반으로서 기독교적인 원죄 의식과 종말관이 뒷받침되기도 합니다.


* 시구 풀이

1. 쉬이 아침이~ 밤이 남은 까닭이요

   : 가슴 속에 벅차 오르는 고향의 과거에 대한 추억을 모두 되새기기엔 시간이 너무 짧으며, 그렇게 모든 것을 한꺼번에 되새기고 덮어 두기엔 남은 날이 많이 있다는 뜻입니다.


2. 나는 무엇인지~ 덮어 버리었습니다.

  : 잃어버린 추억에 대한 그리움으로 언덕에 내 이름자를 써 보지만 이내 덮어 버립니다. 부끄러움 때문입니다. 조국을 잃은 백성으로서의 부끄러운 자아를 덮어 버리는 것입니다.


3. 그러나 겨울이~ 봄이 오면,

  : 슬픔이 희망으로 반전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현재의 화자는 겨울처럼 고통스러운 생활 속에 부끄러움을 느끼며 살아가지만, 광복으로 상징되는 좀이 오면 잃어버린 삶과 꿈은 되살아 날 것이고, 무덤(절망)에 파란 잔디(생명, 재생)가 자라나듯 지금의 고뇌와 고독감도 희망으로 뒤바뀔 것임을, 그리고 부끄러워 지워 버린 나의 이름도 자랑스럽게 되살아날 것임을 확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