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

쉽게 씌어진 시_윤동주(작품 해설)

   쉽게 씌어진 시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하는 것일까?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창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 시구 풀이

 1. 창 밖에~남의 나라: 육첩방은 일본이라는 낯선 공간, 시적 화자를 구속하는 공간입니다. '밤비'는 암담하고 쓸쓸한 현실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시.공간적 배경을 통해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을 단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2. 등불을 밝혀~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현실에 체념하지 않고 극복하려는 결의를 보여 줍니다. '등불'은 광명의 심상으로 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력이며, '아침'은 새 시대로 '어둠'과 대립을 이룹니다. '최후의 나'는 굳은 의지를 지닌 자아로 볼 수 있습니다.

 3. 나는 나에게~최초의 악수: 어두운 시대를 살아가는 두 자아가 화합을 하는 장면입니다. 여기에 두 '나'가 나오는데 암담한 현실에서 우울하게 살아가는 체념적인 자아와 현실을 반성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자아가 그것입니다. '최초의 악수'는 새로운 출발ㅇ르 위한 분열된 자아의 화해, 일치를 뜻합니다.


▣ 작품 해설

 이 시는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쓴 작품입니다. 식민지 시대에 조국을 떠나와 일본에 살면서 시나 쓰고 있는 자기 자신의 무기력함으 자책하고, 자아를 성찰하여 자신의 갈 길을 정립하고자 한 작품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끝없는 좌절과 번민, 무력감을 부끄럽게 느끼면서도 끝없는 모색의 노력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시인의 사명감을 자각해 가는 성찰의 모습을 솔직하고도 섬세하게 보여 주는 작품인 것입니다.

 즉 어두운 시대 상황 속에 갇혀 있는 자신의 모습을 내면화한 반성적 독백 속에서 성찰한 작품으로, 자신을 예민하게 관찰한 일종의 자화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시는 '부끄러움'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그 부끄러움은 학문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 시를 쓰는 자신과 시 사이의 거리감 등에서 온느 것입니다. 그래서 시적 화자는 소외 의식과 내적 갈등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그는 부끄러워하지만 결코 절망하지는 않습니다.


 이 시의 화자가 처한 상황은 '육첩방은 남의 나라'라는 구절에서 단적으로 나타납니다. 그것은 식민지 지식인의 암울한 공간입니다. 그리고 그 공간 속에서 화자는 '시인이란 슬픈 천명인 줄 알면서도' 시를 씁니다. 

 이것은 시인이란 당시의 현실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다만 언어를 다듬고 있는 천명을 지닌 사람이라는 데서 오는 괴로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들으러 가는 강의는 생명이나 절실함이나 열정이 없는 '늙은 교수의 강의'가 되는 것입니다.

 즉 현실에서뿐만 아니라 그가 동경하던 학문에서도 회의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러한 회의와 부끄러움 속에서 화자는 '침전'해 갑니다. 하루하루의 생활이 끝없이 밑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다시금 자신의 시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그러는 동안에도 밤비는 계속해서 내립니다. 그러나 화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체념하지 않고 희망을 모색합니다. '등불을 밝혀' 지금의 '어둠을 조금 내몰고'자 하면서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립니다. 이것은 개인적 번민으로부터의 해방이고, 넓게는 조국의 해방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이르러서 드디어 연민의 대상이었던 자신의 손을 잡습니다. 부끄러움으로 괴로워하는 현실 속의 자아와 이를 극복하고 새롱누 시대를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역사적인 자아가 화해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