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갑.분.국

남으로 창을 내겠소_김상용(핵심정리)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김을 매지요.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


 시구 먼저 살펴 봅시다.


  1. 남으로 창을 내겠소.

  : 시적 화자의 소망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기서 '남'은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곳으로 전원을 의미하는 동시에 밝고 건강한 세계를 의미합니다.

  2. 밭이 한참갈이~김을 매지요.

  : 전원적 삶(안분지족)의 구체적인 모습을 상상하고 있습니다.

   도시라는 인위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이 합일되는 생황을 누리려고 하는 시적 화자의 심경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3.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 혹시라도 있을 세속적인 유혹에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하고 있습니다.

   시적 화자는 세속적인 욕망을 마다하고 자연 속에서 자족적인 삶을 영위하려고 합니다.

  4. 왜 사냐건/웃지요.

  : 시적 화자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과 달관의 자세가 드러난 부분입니다.

  이 시의 시상이 응축된 부분으로, 여기서의 '웃음'은 생의 관조에서 비롯되는 소박하고 평화로운 웃음입니다.


첫 행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의 소망을 정확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시적 화자가 기원하는 삶은 자연에 묻혀 자신의 분수에 맞게 살아가는 삶입니다. 태양을 향한 쪽인 남으로 창을 내겠다는 시적 화자의 발언은 자연의 섭리와 이치에 순응하려는 삶의 태도와 의지를 드러냅니다. 이렇게 1연에서는 자연과 인생이 하나가 되는 안빈낙도의 삶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2연에서 시적 화자는 구름으로 상징되는 도시 생황의 헛된 욕망과 세속적인 삶을 떨쳐 버리며 소박하고 평화로운 자연의 세계에서 살려고 합니다. 구름과 새의 노래, 강냉이를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삶은 세속적인 요소가 있을 수 없는, 밝고 건강한 세계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연은 이러한 시적 화자의 삶의 도달점을 생략과 비약의 기법으로 인상 깊게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삶에 대해 구구하게 설명하지 않고 웃음으로 모든 것을 대신하겠다는 태도는 삶으 관조적으로 바라보고, 그를 승화시키려는 태도에 다름 아닙니다. 다시 말해, 탈속의 정신 세계에 도달해야 이러한 웃음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 작품은 결미의 '왜 사냐건 웃지요'라는 표현을 통해 여운을 강하게 남기는 한편, 전원 생활을 통한 달관의 삶이라는 주제를 호소력 있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핵심 정리

  서정시, 자유시입니다.

  내재율입니다.

  전원 생활을 통한 달관의 삶 추구를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 회화조 어조

  이 시는 친근하게 바로 옆에서 말하는 듯한 어조(회화조)로 자연 친화적인 삶의 태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전원 생활에 대한 굳은 신념을 제시하면서도 이를 강조하거나 역설하지 않고,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시어의 구사로 근면하고 성실한 농경 생활을 즐겁게 엮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포현상 간결하면서도 맑은 시어를 선택하고 있고, 민요조의 소박하고 친근한 가락에 진정한 삶을 위한 전원 생활에의 동경을 싣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참갈이'라든가 '꼬인다'와 같은 소박한 사투리를 사용하면서 작품 전체가 겸손하고 친근한 회화조로 되어 있어, 전원에 돌아가서 자연과 벗하면서 전원 생활을 하겠다는 태도가 이러한 어조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특히 끝 부분에 '왜 사냐건/웃지요.'라는 짧은 두 행은 보통의 언어로는 풀이하기 힘든 삶의 달관적인 태도와 사상을 미묘한 어조로써 암시하고 있습니다.


■ 시적 화자의 태도

  이 시에서 시적 화자는 자연 속에서의 생활, 자연과 동화되어 소박하게 살아가는 삶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한참갈이'와 같은 시어는 시적 화자가 꿈꾸는 자연에서의 삶을 간접적으로 보여 줍니다. 그저 한 사람의 건강한 노동으로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밭이면 충분한 것입니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 속에서 농사지은 강냉이도 누구라도 함께 와 나누어 먹는 것이 기쁜 일이라고 합니다. 이미 탐욕을 버렸으니 무엇이라도 나눌 수 있고, 그런 시적 화자이기에 저절로 넉넉한 웃음이 흘러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그야 말로 주어진 삶을 편안하게 여기며 즐기는 태도가 돋보입니다. 즉, 시적 화자는 안분지족의 동양적 자연관과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갑.분.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춘곡_정극인(핵심정리)  (0) 2019.07.16
추일 서정_김광균(핵심정리)  (0) 2019.07.15
오감도_이상(핵심정리)  (0) 2019.07.13
거울_이상(핵심정리)  (0) 2019.07.12
서울, 1964년 겨울_김승옥(핵심정리)  (0) 20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