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갑.분.국

추일 서정_김광균(핵심정리)

 낙엽은 폴란드 망명 정부의 지폐

 포화에 이지러진

 도룬 시의 가을 하늘을 생각케 한다.

 길은 한 줄기 구겨진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뿜으며

 새로 두 시의 급행 열차가 들을 달린다.

 포플라나무의 근골 사이로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으 드러내인 채

 한 가닥 구부러진 철책이 바람에 나부끼고

 그 위에 셀로판지로 만든 구름이 하나.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

 호올로 황량한 생각 버릴 곳 없어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기울어진 풍경의 장막 저 쪽에

 고독한 반원을 긋고 잠기어 간다.


■ 핵심 정리

자유시, 서정시입니다.

내재율입니다.

회화적, 감각적, 주지적입니다.

주제는 '가을 풍경의 황량함과 고독감'입니다.



■ 시구 분석

1. 낙엽은 폴란드 망명 정부의 지폐

 : 망명 정부의 지폐처럼 쓸모없이 나뒹굴고 있는 낙엽의 모양을 표현한 구절입니다.

  어지럽게 널려 있는 낙엽의 초라하고 쓸쓸한 모습을 쓸모 없는 망명 정부의 지폐에 비유하였습니다.

2. 길은 한 줄기~ 속으로 사라지고

  : 구불구불한 길이 가을 햇살이 눈부시게 쏟아지는 속으로 사라져 간다는 의미입니다.

   쏟아지는 가을 햇빛 속에 아득히 이어지는 길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현하였습니다. '구겨진', '사라지고'에서 가을이 주는 소멸과 조락의 정서가 드러납니다.

3. 포플라나무의~드러내인 채

 : '나무'와 '공장'의 모습을 통해 조락하는 가을의 이미지를 그렸습니다.

  '포플라나무의 근골'은 '낙엽이 진 포플라나무의 앙상한 모습'을 의미하며, '흰 이빨을 드러낸 공장의 지붕'은 가지런한 이빨처럼 질서 정연하게 배열된 하얀 공장 건물들을 의미합니다. 특히, '공장'은 현대 문명의 상징이고 '흰 이빨'로 표상된 도시 문명은 시적 화자에게 황량하고 각박한 현실이 뿐입니다.

4.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 황량한 가을 풍경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적 화자의 몸짓입니다.

  '돌팔매'는 현대 도시 문명의 황량함과 각박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적 화자의 노력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 극복의 결연한 의지를 갖지 못한 채 다만 '고독한 반원'을 그리며 사라질 뿐입니다.



이 시는 김광균의 시 세계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회화시입니다. 1~11행은 시인의 눈에 비친 가을 풍경을 도시적 사물에 비유하여 묘사하였고, 12~16행은 그 정경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심경을 표현하였습니다.

가을 풍경의 묘사 부분에서 가장 큰 특징은 정경의 시각화입니다. '낙엽=망명 정부의 지폐', '길=한 줄기 구겨진 텍타이', '일광=폭포', '기차=조그만 담배 연기' 등의 표현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표현들에서 시인의 문명 비판 의식이 엿보입니다. 시적 화자는 '지폐', '포화', '넥타이', '담배 연기', '급행 열차', '철책', '셀로판지' 등의 문명을 보면서 '황량한 생각'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시적 화자는 자신의 '황량한 생각'을 버리고 싶어 돌을 하나 집어 던집니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이유는 문명에 저항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황량한 생각'을 버리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시적 화자의 심정을 대변하는 돌은 '고독한 반원을 긋고' 땅 위에 떨어질 뿐입니다. 즉, 현실에 대한 시인의 비판 의식이 극복 의지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시 속에서 문명 속의 인간은 고독할 뿐입니다.


■ 시적 화자의 정서

  시적 화자의 눈에 비친 풍경들은 '낙엽, 길, 일광, 급행 열차, 포플라 나무, 공장의 지붕, 철책, 구름' 등입니다. 이들은 '망명 정부의 지폐, 구겨진 넥타이, 폭포' 등으로 비유되거나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뿜거나 '흰 이빨을 드러내인 채' 등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또한 시적 화자는 '호올로 황량한 생각 버릴 곳'도 없이 '고독한'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작품에 제시된 풍경은 시적 화자의 고독감과 황량함이 반영되어 매우 쓸쓸하고 고독한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 이 시에 쓰인 이미지의 특징

1. 소멸과 조락의 이미지: 황량한 가을 풍경이 주는 애상과 공허, 절망의 표현입니다.

  예로 '이지러진, 사라지고, 기울어진, 잠기어'가 있습니다.

2. 도시적 감수성을 드러내는 서구적 이미지: 낯설고 이국적인 정서를 환기시키고, 도시의 가을이 주는 기계적, 물질적인 이미지를 통해 메마르고 황폐한 현실 세계를 표상합니다.

   예로 '지폐, 포화, 넥타이, 급행 열차, 공장의 지붕, 철책, 셀로판지'가 있습니다.

3. 공감각적 이미지: 시각적 이미지(자욱한)와 청각적 이미지(풀벌레 소리), 촉각적 이미지(발길로 차며)의 결합입니다.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